전통상식촌수계산

   지식뱅크 > 전통상식 > 제례법
삼국시대 때부터 지내기 시작한 우리나라 제사 문화는 가문과 지역에 따라 제사의 진행순서와 예법에 차이가 많고 방법 또한 잘못 행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내용으로 올바른 예법과 절차를 익히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신(降神)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향을 올리고 잔에 술을 조금 따라서 두 손으로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茅沙)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고 두 번 절한다. 향을 피우는 것은 향을 피워 천상에 계시는 조상의 혼령을 청하여 모시는 상징적인 행위이고 또 모사에 술을 붓는 것은 향기로운 술을 땅(모사)에 부어 지하에 계실 조상의 신을 모시는 절차이다.

참신(參神)

  신위(神位)에 인사하는 절차로써 모든 참사자(參祀者)가 다같이 두 번 절하고 주부 이하 여자는 네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시고 제사 지낼 때는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을 뒤에 하며, 지방을 모시고 제사 지낼 때는 강신을 먼저 한다고 사례편람(四禮便覽)에는 되어 있다.

초헌(初獻)

  신위에 첫 번째 잔을 올린다.

축문읽기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엎드려 있으면 축관이 축문을 읽는다. 축을 다 읽고나서 참사자는 잠시 묵념을 하던지 곡을 잠시 하고 나서 모두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아헌(亞獻), 종헌(終獻)

  둘째 잔과 셋째 잔을 올린다. 첫 잔 드림과 동일하며 모사 그릇에 술을 따르는 절차만 생략하며 종헌 때는 7부로 술을 따른다.

삽시(揷匙)

  식사를 드시라는 의미로, 수저를 메(밥)에 꽂는다.

헌다(獻茶)

  숭늉을 올린다.

사신(辭神)

  조상을 보내드리는 절차로 두 번 절하고, 지방을 소각한다. 신주를 모신 경우는 신주를 감실(龕室)에 들여 놓는다.(납주 納主)

철상(撤床)

  제상을 정리한는 것으로 안쪽에 있는 음식부터 차례로 음식을 내린다.

음복(飮福)

  제사가 끝나면 헌관 이하 참사자와 가족들이 모여서 조상님께서 물려주신 복(福)된 음식(飮食)을 나누어 먹는다. 고례(古禮)에는 '준'이라하여 참사자 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